반응형
1.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송계층 프로토콜, 인터넷 환경에서 기본으로 사용.
- 호스트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달과 흐름 제어를 한다. 즉,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 일반적으로 TCP와 IP를 함께 사용, IP가 데이터의 배달을 처리 TCP는 패킷을 추적 및 관리.
◎ 특징
1)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2) 데이터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는다.
3)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보장한다.
4) UDP보다 전송 속도가 느리다.
5)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2. UDP ( User Datagram Protocol )
- 비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송계층 프로토콜로써, 인터넷상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보낸다는 신호나 받는다는 신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
-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데이터그램이란? 패킷교환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취급되는 각각의 패킷을 말함.
◎ 특징
1)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한다.
2) 데이터의 경계를 구분한다.
3)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4) TCP보다 전송속도가 빠르다.
5) 신뢰성 없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응형
'코딩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메모리 영역(code, data, stack ,heap) (0) | 2016.07.05 |
---|---|
[용어] 디버깅 모드와 릴리즈 모드의 차이점 (0) | 2016.06.13 |
[용어] RAS (remote access server) , 원격접속서버 (0) | 2016.03.30 |
[용어] V2V(Vehicle to Vehicle) (0) | 2016.03.14 |
[용어] 이벤트 드리븐(event driven) (0) | 2016.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