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용어

[용어] 디버깅 모드와 릴리즈 모드의 차이점

반응형

릴리즈 모드(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해 컴파일 하는 모드)

1. 초기화 하지 않는다.

2. 같은 문자열 상수라도 서로 다른 공간에 할당된다.

3. 디버깅정보를 삽입하지 않고 코드를 최적화하여 실행 파일 크기를 최대한 줄여준다.

4. 메모리 점유율도 낮아지고 실행도 빨라진다.

5. 더 이상 현재버전에서 내결함성이나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없었을 때 빌드하여 주는 모드이다.


디버깅 모드(컴파일시 들어가는 디버깅에 필요한 잡다한 정보를 뺀 알짜 프로그램만 쏙 뽑아내는 모드)

1. 실행파일에 디버깅 정보를 삽입하여 언제든지 디버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Debug서브 폴더에 실행파일을 만들어준다.

2. 디버깅정보가 들어가 있때문에 실행파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디버그에 필요한 정보들을 실행 시 계속 체크함으로써 속도가 느리다.

4. 디버그 빌드와 릴리즈 빌드에서 서로 실행 결과가 다른 경우

 - 특히 디버그 빌드에서는 괜찮은데 릴리즈 빌드에서만 오류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이 죽는 경우 대부분 메모리가 깨진 경우 발생한다.

 - 두 모드에서 동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면 힙 영역에 요청한 크기만큼 메모리를 할당 받게 되는데 그 초기값이 다르다.

5. 릴리즈 모드와 디버깅모드의 차이점은?

 - 디버깅 정보를 실행코드 안에 넣느냐 안 넣느냐의 차이. 즉, 디버깅 모드로 컴파일하게되면 실행상태에서 추적할 수 있는 정보가

   실행파일 안에 들어가게 되므로 용량이 커지고, 릴리즈 모드의 경우 디버깅 정보없이 순수한 소스코드자체의 기능만 컴파일되어

   실행파일로 만들어진다.



반응형